관리자로서, 바쁘게 돌아가는 스트레스 상황에 갇혀 스스로 빠져나올 수 없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이 질문은 여러분이 자기파괴의 굴레에 빠졌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자기파괴란 '다른 사람들을 돕기 전에 먼저 자신의 산소 마스크를 써야 한다'는 자기 돌봄의 첫 번째 원칙을 지키지 못한 상태를 말합니다.
1. 다음과 같은 자기파괴 행동을 한 적이 있습니까?
👉자신의 커리어 개발에 대해 책임감을 갖지 않음
👉직장에서 대인관계의 우선순위를 정하지 않음
👉다른 사람의 능력/경험에 위협을 느끼고, 팀원들의 의견을 거부함
👉관리자로서 팀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느라 바쁜 나머지, 자신의 성장/학습/발전에 신경 써야 한다는 사실을 자주잊음
2. 자기파괴 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문제행동이 지속되는 이유는 그런 행동이 상당한 이득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선천적으로 '함께 어울리려는 욕구'와 '남보다 뛰어나고 싶은 욕구' 모두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남들의 애정을 바라고 사회적으로 배제당하고 싶어하지 않으며, 개인적으로 인정을 받고 싶어하지요. 이러한 욕구는 관리자들의 자기파괴 행동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팀원들에게 책임을 공유하거나 업무를 위임하지 않는 태도 또한 관리자들의 공통적인 자기파괴 행동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진행중인 업무에 대한 권한을 놓칠까 봐 또는 자신의 일을 팀원들에게 넘겼다는 부정적인 시선을 받을까 봐 두려워하는 마음에서 나옵니다. 팀원들의 업무 능력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것 또한 이러한 행동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자기파괴 행동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리더나 팀원들이 여러분의 입장을 이해할 거라고 짐작하지 마십시오. 자신의 목표와 성장에 필요한 것들을 명확하게 이야기하세요.
👉자신감과 겸손함 사이에서 균형을 취하고, 권한을 위임할 때에는 현실과 복잡한 환경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부정적인 생각에 이의를 제기하고, 실수로부터 교훈을 배우며, 확신을 가지십시오.
👉특정 분야에서 무언가를 성취하는 경험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지속적으로 배움을 즐기면서 자신감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자신의 성장이 팀의 성공과 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십시오. 자신의 성장을 우선시한다고 이기적인 것은 아닙니다.
여러분의 팀이 중요한만큼 여러분 자신의 커리어도 중요합니다. 팀에 대한 책무로 너무 많은 시간을 뺏기지 않도록 하십시오. 자신의 지평을 넓히고, 자신의 역할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시기 바랍니다. '내가 어떻게 하면 성장할 수 있을까?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은 어디인가? 나만의 능력을 개발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등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