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과 팀을 구축 및 유지하는 것은 리더십 분야에서 늘 회자되는 주제입니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은 협업 방식을 바꾸었을 뿐, 고성과 팀의 중요성은 약화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팀들은 과거보다 더 유연하게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실무직원 등 내부 이해관계자들과 프로젝트에 따라 함께 협업하는 협력업체 및 협력사등 외부 이해관계자들이 한 팀을 이루기도 합니다. 최근 고성과 팀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팀의 색깔(차별화, 정의)
고성과 팀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팀의 목적, 기간 및 요건들을 명확하게 한다.
2. 팀의 목적성(비전)
팀원들을 하나로 모으는 과정에서, 모든 팀원들이 팀의 목적이 무엇인지, 자신의 업무가 조직차원의 목표와 어떻게 연계되는지 등에 대해 공통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고성과 팀원들은 주로 개인적으로 기여도가 높은 사람들이기 때문에, 개인중심이 아닌 큰 그림을 볼 수 있도록 사고방식을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커뮤니케이션 능력(협력)
고도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 건전한 갈등 해결방법 및 필요한 변화에 적응할 줄 아는 오픈 마인드 등을 통해, 서로 다양한 견해/ 실력/ 업무환경을 존중 및 조정하며 어려움을 헤쳐나갈 수 있는 사고방식을 심는다.
4. 회복탄력성(개인 관리)
스트레스가 많고 모호하며 불안한 환경에서도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을 구축한다면, 팀원들이 번아웃(burnout)되지 않고 계속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5. 리더의 능력(리더십 역량)
위 과제들을 세심하게 조율할 준비가 잘 되어있으며 향후의 니즈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리더를 선정한다. 리더는 갈라진 틈새를 메우는 시멘트처럼 팀을 결속시켜야 합니다.
고성과 팀의 존재는 많은 혜택을 가져오지만, 원하는 목표달성에 실패하는 경우 많은 것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고성과 팀의 성공을 위해서는 팀의 목적과 시급성을 명확히 하고 긍정적인 업무환경을 마련해야 합니다.
참고자료
Juneja, P.(NA). Difference Between a Team and a High-Performance Team.
Bhardwaj, N. (2019). Building high-performance teams of a successful organization.
Keller, S & Meaney, Mary. (2017). Highperforming teams: A timeless leadership to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