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의 성장을 격려하고 업무에 가치를 더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 환경에서 기쁘게 일할 수 있는 직장이 있다면, 그곳은 ‘모두가 다니고 싶은 직장’일 겁니다. 이것이 바로 ‘모두가 다니고 싶은 직장’ 또는 ‘일할 가치가 있는 기업’의 판단 기준입니다. 직원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연구는 1985년 에드워드 데시(Deci)와 리차드 라이언(Ryan)이 발표한 ‘자기 결정성 이론 'Self Determination Theory (SDT)'입니다. 자기 결정성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기본적으로 자율 성, 유능성, 관계성 등 세 가지 심리적인 니즈가 있습니다. 사람은 이 세가지 기본 니즈가 충족되면 최적의 동기부여를 느끼게 됩니다. 이를 근무환경에 적용하면, 최적의 동기부여를 받은 직원은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주어진 업무 이상을 해낼 수 있습니다. 자율성은 직원이 자신의 업무 방식을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아이디어를 표현하며 창의력을 발휘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자율성의 핵심은 타인의 통제나 지시를 받기 보다는 자신의 의지에 의해 스스로 행동하는 것입니다. 유능성은 직원이 자신의 업무를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수행한다고 느끼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자신이 업무에 필요한 능 력을 가지고 있고, 적절한 직무 역할을 맡았으며, 조직의 성공에 직접적인 기여를 한다고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계성은 소속감을 의미합니다. 즉, 직원이 스스로 조직에 속해 있으며, 조직의 관심과 지원을 받는다고 느끼는 것을 뜻합니다.
1. 자율성 지원
✅정해진 범위에서의 신뢰
직원들이 관리자의 세부적인 개입이나 관리 없이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해 보십시오. 직원들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는 자신의 업무를 언제 어떻게 수행할 지를 자유롭게 결정하게 해주십시오.
2. 유능성 지원
✅코칭과 교육
직원 교육 및 코칭에 투자하여, 직원들이 담당업무와 앞으로 하고 싶은 업무를 더 잘 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갖추도록 해주십시오. 코칭은 조직 내부 인원을 활용 할 수도 있습니다. 주니어 직원들이 조직 내 다양한 경력자들의 코칭을 받을 수 있고, 경력자들은 자신보다 더 어린 직원들로부터 기술 관련 코칭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조직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학습을 도모해 보십시오.
3. 관계성 지원
✅축제의 장
조직의 주요 행사들을 직원들이 서로 더 가까워지는 계기로 만들어 보십시오. 이러한 행사는 직원들의 관계성 니즈를 충족할 뿐 아니라, 서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조직 내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점심/저녁 식사 시간에 이러한 활동을 기획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참고자료
|
|
|
워크라이프 코치에게(사례) : 비대면으로 합류한 리더로서 팀과 연결되기 |
|
|
저는 최근에 5명으로 구성된 팀의 새로운 관리자로 회사에 합류 했습니다. 팀원들은 2년 이상 이 회사에서 일했으며 전 직원이 1년 이상 재택근무를 해왔습니다. 전 팀장이 작년 갑자기 퇴사한 이후 6개월 넘게 리더 없는 팀으로 일하며 팀의 사기에 큰 악영향을 받았습니다. 비대면으로 합류한 새 리더로서 팀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 할까요? |
|
|
문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로운 팀 리더로서 새로운 모험에 합류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이러한 새로운 리더의 위치에서 00님은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있습니다. 사기가 낮은 팀을 관리하는 것은 어렵고 비대면 팀을 이끄는 것은 벅찬 일이고 비대면으로 팀에 합류하는 것 역시 힘들기 때문입니다. 필요한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직장문화에 적응하는데 몇 달 이상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일들이 비대면 업무 환경에서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배움과 감정의 여정입니다. 현재 직면한 전환과정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고, 주목해야 할 세 가지 다른 측면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조직을 이해하기
일반적으로, 귀하가 경험이 많고 리더십 역할에서 더 높은 지위에서 채용되었기 때문에 회사는 리 더가 가능한 한 빨리 새로운 계획이나 전략을 구현하기를 기대하며 온보딩 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습 니다. 따라서 회사가 귀하를 위해 무엇을 준비했던 그리고 온보딩 프로그램이 얼마나 길던 개인적으 로 조직의 가치, 규범 및 전제지침을 등한시 하지 말고 적극적인 자세로 이해하려고 해야 합니다. 도 움을 구할 수 있는 이해관계자를 찾고 다른 동료 리더들에게 리소스를 요청하십시오. 이를 위해 다른 팀 리더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배움을 얻을 수 있도록 비대면 커피모임을 주선하는 등 비대면 업무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팀을 이해하기
팀 역학과 커뮤니케이션 패턴, 그리고 팀 리더 부재시 팀이 일 해온 방식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비대면으로 일하는 동안 팀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는 방식을 이해하십시오. 또한 팀에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알리고 귀하의 커뮤니케이션 패턴을 기존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통합하는 방법을 찾으십시오. 각 개인의 책임과 잠재력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각 팀원과 일대일 회의를 주선하세요. 비대면 환경에서도 팀 결속과 강력한 연결을 만들기 위해 집에서 일하는 동안 팀원들의 어려움을 물어보고 개인 생활을 이해하세요.
✅스스로를 이해하기
이 과정은 흥미롭고 스트레스가 많습니다. 리더가 없는 팀을 비대면으로 이끄는 것은 두 배의 흥분과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전환기간 동안 감정에 유의하고 팀을 원활하게 관리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잠재적인 사각 지대를 인지하십시오. 자신과 팀을 압박하는 대신 새로운 전략을 구현하는 속도를 조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사려 깊은 리더가 되는 법을 배우십시오. 자신을 정직하게 살펴보고, 질문 하고, 팀을 이끄는 리더십 스타일에 대해 주기적으로 심사숙고 해보십시오. |
|
|
Human Dynamic 30th Anniversary Linkedin Live -
Leadership as Practice: LEADERSHIP Beyond TRAITS 디브리핑 |
|
|
휴먼다이나믹은 3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달, 세계 각 지역의 리더를 초대하는 LinkedIn Live Event를 진행하였습니다.
'Leadership as Practice: Leadership beyond Traits'주제로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이것이 개인, 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설립자이자 CEO인 Dr. Eric Kung은 LinkedIn Live Event에 참여하여 자신, 팀 및 조직을 이끌고 조직 변화를 주도하는 역동적인 프로세스를 소개하였습니다. 그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적용될 "Leadership as Practice" 모델에 대한 연구를 공유했으며, 변화의 주체가 될 중간 관리자와 조직 변화를 이끌 혁신적인 리더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소개하였습니다.
이번에 진행되는 디브리핑 세션에서는 연세대학교 한수정교수님과 함께 리더십을 한국적인 맥락에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것입니다. 또한 휴먼다이나믹 컨설턴트와 함께 한국 기업에서 적용되는 실제 사례에 대한 내용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
|
|
*세션에 참석하신 분들에게는 "Exploring the Leadership as Practice of Middle Managers Engaged in Organizational Changes in a Multinational Setting" PDF자료 다운로드 링크가 제공 될 예정입니다.
관심 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
|
|
<휴먼다이나믹 HR아티클 블로그 안내>
휴먼다이나믹 홈페이지에서 아티클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조직 내 이슈 및 솔루션, 사례 등을 참고 할 수 있으며, PDF 다운로드 또한 가능합니다.
해당 아티클은 HR월간지에 포함된 내용이며, 현재 고객사에 제공되는 자료의 공개버전 입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유익한 정보 얻으시길 바랍니다. |
|
|
휴먼다이나믹 아시아퍼시픽kr.office@humandynamic.com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18 11층 02.552.9572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