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다이나믹 그룹의 Divya Khanna 고객 관계 담당 이사가 Atyati Technologies의 최고인재책임자인 Mahasweta Paul 부사장을 만나보았습니다. Mahasweta부사장은 다양한 업계의 HR/인재 리더십 분야에서 20년이상의 경험을 쌓아왔으며 매일 여러 직급의 리더들과 협업을 하고 있습니다. 다음 인터뷰를 통해, Mahasweta 부사장의 리더십 및 의사결정에 관한 통찰력을 살펴보겠습니다.
🔖사장님의 경험으로 볼 때, 리더들이 공통적으로 빠지는 의사결정의 함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처음 리더가 된 사람이 가장 먼저 겪는 변화는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겁니다. 자신의 팀/조직 구성원, 프로젝트, 수익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해야 한다는 것이죠." Mahasweta부사장은 리더들이 공통적으로 빠지는 의사결정의 함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닻의 함정
자신이 얻은 첫번째 정보/과거의 동향 등 한 가지 유형의 정보를 과대평가하여그 정보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함정.
👉현상유지의 함정
특정 기존 구성원 내지기존 사고 프로세스와 연계된 방안에 찬성하고,기존 프로세스에 연계되지 않은 방안을 반대하는태도. 리더는 편안한 느낌이 드는 결정이 아닌, 목적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을 해야 합니다.
👉매몰비용의 함정
과거의 선택이 현재와 미래의 맥락에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매몰 비용을 축적하기 보다는(과거의 선택을 정당화하려고 하기 보다는)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함을 기억하세요.
👉틀의 함정
질문의 틀을 자신의 선호하는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특정 정보를 과대평가하여 현상태를 유지하거나 매몰비용을 정당화하는 것, 틀의 함정은 일종의 심리적 방법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쪽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것 입니다.
👉추정과 예측의 함정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추정과 예측의 함정은 환경이나 여건이 확실한 상황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확실한 환경에서는 도움이 되기 어렵습니다.
👉단정적 증거의 함정
근거에 따라 의사결정을 하기 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오류를 뜻합니다. 즉, 자신의 생각을 지지하는 정보/근거를 찾고 가중치를 높게 두는 경향을 말합니다.
👉신중함의 함정
너무 신중한 나머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계획하면, 업무 기한과 비용이 늘어납니다. 과도한 신중함은 불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과신의 함정
리더는 자신이 예측한 바를 과도하게 확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 사례를 공유해 주실 수 있나요?
👉저는 많은 리더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이런 함정에 빠지는 모습을 자주 목격했습니다. '현상유지의 함정'은 제가 매일 목격하는 것인데요. 예를 들면, 조직/팀 문화 때문에 누군가의 심기를 불편하게 할까 봐 올바르지 않은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번은, 모든 관리자들이 팀장 의견을 신봉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팀장과 다른 의견을 제시하면 프로젝트에서의 존재감, 보상, 심지어 일자리까지 대가를 치뤄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죠.
또 리더들은 자신이 원하는 대답을 듣기 위해 ‘틀의 함정’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즉, 민주적인 의사결정 프로세스 속에서도 자신의 동맹을 만들기 위해 상대방을 미묘하게 조작하는 것이죠.
'매몰비용의 함정’도 자주 발생합니다. 자존심을 부리느라 올바르지 못한 의사결정을 하는 리더들이 꽤 보였죠. 권위있는 직급의 리더들도 자신이과거에 내린 결정이 맞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더 많은 시간과 리소스를 투자할 때가 있습니다.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제가 만난 리더 중에는 최종 목표를 늘 염두에 두고 단기적인 이득과 타협하지 않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는 그런 리더들의 의사결정이 긍정적인 결과를 불러온 사례를 많이 보았습니다. 그런 리더를 둔 사람들의 커리어도 발전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이런 사례들을 보면서, 저도 의사결정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HR 리더로서, 저도 동료들이 제대로 된 정보에 근거해서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하도록 도와야겠다고 생각했지요.
🔖지금처럼 불확실한 시대에, 리더들이 의사결정의 함정을 피하고 정보에 기반한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인식(Awareness)과 주인의식(ownership)이 핵심입니다. 모든 리더는 심리적 함정이 가까이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주인 의식이란 리더가 조직과 구성원들에게 더 깊은책임감을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책임감을 놓치지 않고, 팀원들의 경험과 조직의 수익성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합니다.
모든 리더가 실수를 피할 수는 없습니다. 자신의 실수를 빨리 인정할수록, 다음에 성공할 확률도 높아집니다. 실수와 위기를 만회하고 관리하는 능력이야 말로 훌륭한 리더의 자질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