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 젠더 이슈는 다이나믹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는 많은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육아/가사 뿐 아니라 리더십에 있어 서도 젠더 역할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업무량, 생산성, 직장 내 갈등, 가족관계 위기, 자녀 출산으로 인한 변화 등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요인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어려움들을 헤쳐 나가려면, 변화를 옹호하고 지원하는 스폰서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스폰서란 다양성 & 포용 성 이슈를 더 명확하게 비즈니스와 연결 지어 강조함으로써 다양성과 포용성 에 대한 소통을 이끄는 개인 또는 그룹을 의미합니다. 보통 고위 리더 또는 전담 위원회가 그러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진정으로 포용적인 조직을 만들려면, 각 개인이 자신이 속하지 않는 집단을 지지하는 후원자가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는 남성들처럼 말입니다. Leavy가 만든 사회적 지지 모델(Social Support Model)에 따라, 포용성을 지원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4 가지로 정리하였습니다:
👉정서적 지지를 하라
여러분 주변 사람들에게 그들이 배경에 상관없이 귀중한 사람이라고 알려 주십시오. 이들도 자신이 맡은 업무의 가치를 증명해 낼 수 있습니다.
👉정보를 지원하라
정보가 모든 직원에게 제 때에 제공되도록 투명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조직 대내외적인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업계의 정보와 동향을 공유하고 다른 조직들은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십시오.
👉의미 있는 지원을 하라
취약계층 직원들에게 아랫사람을 가르치듯이 하지 말고, 자발적으로 진심 어린 지원을 제공하십시오. 유연한 업무흐름을 구성하고, 거짓으로 급박함을 연출하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취약계층 직원들의 커리어/사회적 역량 개선 계획을 세워서, 이들이 성장에 도움이 되는 플랫폼을 활용하도록해 주십시오.
👉업적을 인정하라
여러분 주위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존재감을 인정하십시오. 직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신사 여러분 내지 사내 친구들’이라고 언급하는 것은 의도치 않게 다른 성별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습니다. 조용한 직원들에게 자신감을 주기 위해, 각 개인의 업적을 인정하고 강조해주십시오.
어느 기업이든, 재능과 뛰어난 역량을 갖춘 직원들이 수익을 창출합니다. 특히 여성을 포함하는 직원들을 위해 포용적인 일터를 구축하고자 한다면, 휴먼다이나믹의 컨설팅을 활용해 보십시오.
참고자료:https://hbr.org/2020/01/5-strategies-for-creating-an-inclusive-workplace
https://www.catalyst.org/research/women-in-the-workforce-global/
|
|
|
코치님께~
저는 승진했고, 제가 팀의 일원으로 있을 때는 분위기가 괜찮았던 것 같은데요. 제가 승진되고 난 후에는, 팀 동료들이 제가 능력이 아닌 이유로 출세 했다고 생각하는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처음에는 정말 화가 났는데, 이제는 스스로 자신을 의심하기 시작 했어요. 저의 이런 상태가 업무에도 영향을 미쳤고, 스트레스가 넘치고 있어요.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정말로 알고 싶어요. |
|
|
안녕하세요! 먼저 연락 감사드립니다. 전 세계적으로 직급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이 갑작스럽게 닥친 변화로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타인에게 일어난 변화 뿐 아니라 스스로에게 일어난 변화를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것도 어려운 일입니다. 열심히 일했고 뛰어난 능력, 역량과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지금의 성공을 누릴 자격이 있다고 믿기가 쉽지 않지요. 그래서 마음 속으로 내가 지금 이자리에 오게 된 것은 편파적으로 운이 좋아서, 역차별 때문에, 또는 마침 적시적소에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이런 딜레마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기존 담당역할에 중요한 변화가 생길 때 또는 커리어 변화, 승진 등 커리어가 발전하는 단계에서 이러한 딜레마를 경험할 수 있지요.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생각을 가장 많이 했던 때가 승진했을 때 또는 새로운 직무를 맡았을 때라고 응답했습니다.
이런 감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과 자신이 잘하는 것에 집중하고 에너지를 쏟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감정은 자신에 대한 의심, 성공에 대한 두려움, 자기파괴 등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리더들도 그런 감정이 들 때가 있습니다. 본인뿐 아니라 주변 직원들도 그런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한 조사에 따르면 리더는 그런 감정을 인정하지않고, 말하지 않고, 잘 숨기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리더로서, 비슷한 경험을 하는 팀원들을 앞장서서 도와주십시오. 용기와 배려심을 가지고 시작하면 됩니다. 질문자님과 팀원들 모두 깊은 소속감을 느낄 수 있고 서로 돕는 환경을 만드는 데에 중점을 두세요. 구체적으로는 아래 조언을 기억해 두시기바랍니다.
👉표 붙이기
생각에 이름표를 붙여보세요. 그러면 해당 생각을 극복 하기가 더 쉬워질 것입니다.
👉단언하기
자동으로 떠오르는 생각과 감정을 인지하고, “나는 …때문에 이 업무를 맡을 자격이 있다” 처럼 사실에 기반한 말을 단언함으로써, 자꾸 떠오르는 생각/감정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가면 박스 만들기
스스로에 대해 의심이 든다면, 그러한 감정을 글로 기록하고 다른 곳에 넣어 놓은 뒤에, 일상 생활을 해 나갑니다. 가면 박스에 있는 감정기록을 지울 준비가 되면, 박스를 다시 꺼내봅니다.
👉지원 요청하기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속마음을 터놓고, 자신의 재능과 능력에 대해 상담을 구해봅니다.
|
|
|
휴먼다이나믹 아시아퍼시픽kr.office@humandynamic.com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18 11층 02.552.9572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