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경제, 사회, 그리고 직장에서도 전례 없이 예측 불가능한 어려움을 경험해왔습니다. 기업들은 글로벌 위기 및 사회적 혼란 속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의 의미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양성과 포용성
다양성과 포용성은 단순한 프로그램이나 슬로건이 아닙니다.기업이 경쟁우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성과 포용성의 가치가 기업 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기업의 사명과 조직 전반 적인 활동에 반영되도록 해야 합니다.다양성은 단순히 여성 임원 수, 소수 집단 직원 수 또는 다양성 교육 프로그램/행사 건수로 판단하는 가치가 아닙니다. 직원들은 다양성이 조직에 내재화 되기를 원하며, 그러한 다양성을 체험하고 싶어 합니다.
👉다양성
다양성과 포용성 관련 프로그램을 재점검할 때에는, 다양성이 내포하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 해심도 있는 분석을 해야 합니다. 먼저 다양성 해석의 범위를 확대해야 합니다. 즉, 연령, 성별, 성적 지향성, 민족, 인종, 종교, 장애 유무, 교육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받아들이는 차원을 넘어서서, 더 광범 위한 인지적 다양성 (사고방식, 관점, 정보 해석 방식의 차이점들)도 인정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각자 다양한 관점, 생각, 신념, 아이디어를 가진 직원들이 모여서, 팬데믹으로 인한 비즈니스 도전과제에 대응하고 기회요인을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직 내 다양성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공평성
다양한 구성원들이 모인 조직이라고 해서 반드시 포용성 있는 조직인 것은 아닙니다. 다양성과 포용 성을 옹호하는 기업이라면 직원들의 소속감을 높이고 이를 비즈니스에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야 합니다. 포용적인 조직 문화 속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존중 받는다고 느낍 니다. 직원들의 소속감을 높이려면, 이들이 조직 내 인간관계 및 상호작용 속에서 심리적인 안전감을 갖게 해주어야 합니다. 심리적 안전감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은 조직 내 공평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즉, 모든 구성원들이 공정한 대우와 평등한 기회를 보장받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 공유하고 상대로부 터 경청 받을 권리를 누리도록 해주는 겁니다.
👉포용적인 리더십
직원들이 소속감을 느끼려면 팀 또는 조직 내 구성원들을 개인적으로 알아가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는 리더의 책임입니다. 포용적인 문화를 조성하려면 공감력 있고 포용적인 리더십이 필수인데, 이러 한 리더십은 일회성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우선 리더 스스로 일상 업무에서부터 의사결정 및 정책수립에 이르기까지 모든 활동에 있어서, 직원들과 신뢰를 구축하고 공정성을 확보하는 방법 을 심사숙고 해보아야 합니다.
👉다양성과 포용성의 핵심은 사람
다양성과 포용성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거나 노력을 기울이는 사람이 없다면, 그 이니셔티브는 실패로 끝날 것입니다. 리더는 자신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는 바와 직원들이 리더에 대해 느끼는 바가 다르다는 점을 알고,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다양성 & 포용성 계획을 세울 때에는 모든 직원들이 관련 대화에 참여하도록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