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가 크든 작든, 한 사무실을 같이 쓰든 지구 반대편에 떨어져 있든 ‘팀’이라는 이름으로 묶인 단체는 모두 개인과 조직의 리소스가 함께 모여 더 큰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마련된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팀을 이루는 근간은 사실 ‘함께라면 모두 더 좋은 결과를 이룰 수 있다(Together Everyone Achieves More)’는 정신에 입각한 것입니다. 오늘날 업무 환경은 변동성 (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과 모호성 (ambiguity)(VUCA)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 입장에서는 전보다 더 민첩하게 다가오는 변화에 적응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이제는 더 이상 수동적인 문제 해결 방식을 채택해서는 안 되고, 불확실성을 적극적으로 타개할 기량을 완전히 익혀야 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그처럼 ‘학습하는 조직’이 되어 역동적이고 경쟁이 치열한 세상에서 조직의 목표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 스스로를 적응시키고 변화시키고자 배움을 독려하고 촉진하는 조직으로 거듭나려면 우선 ‘팀 학습’이라는 원칙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무언가 배워 숙달되는 것은 각 직원이 자신이 속한 팀에 기여하기 위해 애쓸 수 있는 부분이지만, 팀 학습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업계의 동향과 수요에 발맞추어 조직을 지원하는 데 그만큼, 또는 어쩌면 그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팀 학습으로 효과를 거두려면 개인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야를 계발해야 합니다.
👉복잡한 문제에 직면시 함께 고민하고 통찰력 있게 제고
팀원들과 창의적으로 협력하여 생각해낸 아이디어와 솔루션은 혼자서 달성할 수 있는 결과를 훨씬 능가할 수 있습니다. 함께 공유하고 배움으로써 적당한 비용으로, 허용할 만한 기한 내에 최선의 솔루션과 제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혁신적이고 조화로운 조치 취하기
조직에서는 고객의 수요와 비즈니스 요구 사항으로 인해 기존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법을 찾거나 새로운 문제를 해결해야만 하는 상황에 끊임없이 직면합니다. 팀 학습은 개인들 사이의 경쟁과 대척 관계를 만드는 대신 협업과 혁신의 정신을 바탕으로 토론과 대화를 통해 이러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
👉다른 팀에서도 행동을 취할 수 있게 해주는 네트워크 조성
학습하는 팀이라면 상위 조직 내에서는 물론 소속 팀원들 사이에서도 끊임없이 지식의 흐름을 촉진하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 주도자, 수용자, 연결자와 네트워크 담당자 등 다양한 역할을 서로 번갈아 맡으면서 합의한 아이디어가 좀 더 개방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참고자료
Fitzgerald, D. (2003). Team Learning: More than Group Thinking.
Zeeman, A. Senge’s Five Disciplines of Learning Organizations
Kayes, D & Burnett, G. (2006). Team Learning in Organization: A Review and Integration |